국보 훔친 도둑의 전화 한강에 묻어놨다

“한강철교 3교각
16, 17번 침목 밑 모래밭에 묻어 놓았다”

1967년 10월 24일 밤 11시 5분,
문화재관리국장에게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전화를 건 사람은 국보 제119호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을 훔쳐간
범인이었습니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범인은 같은 날 오전
‘오늘 안으로 반환하겠다’는 메모를 남긴 채
불상과 함께 감쪽같이 모습을 숨겼습니다.

전국의 공항과 항만에서
비상 검문이 실시됐지만
털끝 하나 찾을 수 없었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전화를 받은 문화재관리국장은
부리나케 한강으로 달려갔습니다.

범인이 말한 장소엔 불상이 묻혀 있었으나
범인은 끝내 잡지 못했습니다.

출처: 매경 DB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문화재 도난 사건은
생각보다 자주 일어났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
도둑맞은 적이 있었는데요.

출처: 영화 ‘도굴’ 스틸컷

1967년 12월 현충사에 침입한 도둑이
‘난중일기’를 들고 달아났습니다.

범인은 열흘 뒤 부산에서 체포됐는데요.

당시 범인은 ‘난중일기’를 일본에 팔기 위해
밀매 경로를 찾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충무공의 구국정신과 애국혼이 담긴 보물이
일본으로 넘어갈 뻔했던 것이죠.

출처: MBN 뉴스 캡처

이처럼 지난 수십 년간
수많은 유물이 도난 피해를 입었는데요.

충격적인 건
도난당한 유물의 60%를
아직까지 찾지 못했다는 사실입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

대표적인 게 삼국사기’입니다.

1970년 경주 옥산서원에 보관 중이던
‘삼국사기’ 두 권이 도난당했습니다.

경찰 수사 끝에 한 권은 회수했지만,
나머지 한 권은 끝내 찾지 못한 채
수사가 중단됐습니다.

출처: 매경 DB

안평대군의 글씨가 담긴
국보 제238호 ‘소원화개첩’
되찾지 못한 도난 유물 중 하나입니다.

‘몽유도원도’ 발문을 쓴 안평대군은
조선시대 명필로 유명한데요.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소원화개첩’은 국내에서 발견된
안평대군의 유일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높았습니다.

그런데 2001년
소장자의 아파트에서 도난당한 뒤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행방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출처: 영화 ‘도굴’ 스틸컷

2019년 말 기준 도난 피해를 입은
국보,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는
총 2438점입니다.

그중 1552점
아직 돌아오지 못했죠.

도난 방지는 물론,

도둑맞은 유물을 되찾는 일에도
더욱 힘쓸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