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정상들은 어떤 음료를 들까?

국에도 음료수 트렌드세터가 있다
워너원, 마시즘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

무엇을 만지든 날개가 돋치는 워너원이야 그렇다 치자. 하지만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음료 트렌드세터라는 사실은 당혹스러울 수 있다. 동종업계(?)에 있는 입장에서 보자면 문재인 대통령은 전문적인 장르를 가진 훌륭한 음료 트렌드세터다.

그는 ‘문재인 블랜딩’으로 대표되는 커피로 시작했다. 그리고 기업인들과의 만남에 만찬주로 수제 맥주 ‘강서 마일드 에일’을 골랐고, 그 뒤로는 가평잣막걸리, 풍정사계 춘, 평창 서주 등 전통주 쪽으로 장르를 굳혀가고 있다.

실제로 대통령이 고르는 전통주마다 완판행진을 이어가고 있으니 마시즘이 인정한 음료 트렌드세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다 문득 궁금해졌다. 다른 나라의 정상들은 어떤 음료를 즐겨마시고 그로 인해 음료시장이 들썩이는 걸까?

오바마 전 대통령

수제맥주 사랑

미국 대통령과 술의 관계는 진하다. 초대 대통령인 워싱턴은 임기가 끝난 후 양조장을 만들어 제2의 인생을 시작했고, 토마스 제퍼슨 대통령은 와인을 모으다가 파산했다. 하지만 여기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임기 중에 무려 ‘백악관에서 맥주를 양조한 최초의 대통령’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그는 홈 브루잉기를 사비로 구매하여 백악관 한구석에서 맥주 만들기에 매진했다. 맥주에는 아내가 양봉한 꿀을 첨가해서 독특한 풍미를 냈는데 ‘화이트 하우스 허니 에일’이라는 이름 거창한 수제 맥주를 만들었다.

오바마는 G20 정상외교에서 영국 총리에게 자신의 정치적 고향 시카고의 수제맥주인 ‘구스 아일랜드 312’를 건내며 “차게 마셔라”라고 조언을 날렸다. ‘어디 미국이 영국 앞에서 맥주 조언을 날리냐’라고 볼 수 있지만 이는 맥주시장의 세대교체를 의미한다. 미국에는 1,500개 이상되는 수제맥주 양조장이 독특한 맛으로 맥주의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거기에 집에서 홈 브루잉을 하는 인구까지 급증했다고 한다. 마치 오바마 처럼 말이다.

트럼프 대통령

애증의 코카콜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책상에는 빨간색 버튼이 있다. 한창 북한과 핵부심 대결이 있었을 때 트럼프는 자신에게는 엄청난 핵단추가 있다고 발언한 적이 있었는데 한 기자가 트럼프에게 물었다. “이게 바로 북한을 위협하는 핵단추인가요?” 트럼프는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죠”라며 버튼을 눌랐다. 그러자 다이어트 코크를 든 비서가 나타났다. 그는 하루에 핵단…아니 코크 단추를 12번 누른다.

실제 트럼프가 방한했을 때도 그는 만찬주 대신에 콜라를 들었다. 큰 형인 프레드가 이른 나이에 알콜 중독에 사망했기 때문이다. 술 대신에 트럼프가 해결할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법은 오직 정크푸드와 다이어트 코크라고 한다.

오바마와 수제맥주의 관계와 달리 트럼프와 코카콜라는 애증의 관계다. 대중적인 사랑을 원하는 코카콜라에게 트럼프의 이미지와 정책은 미스매치다. 거기에 더해 지난해 슈퍼볼 경기에서 트럼프의 눈앞에 ‘반트럼프’광고까지 날려버렸으니 둘 사이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고 볼 수 있다.

트럼프는 코카콜라를 ‘쓰레기’라고 규정하고,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올린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나쁜관계 속에서도 트럼프는 다이어트 코크를 계속 마시겠다는 선언을 했다. 앞으로 코카콜라라는 음료의 이야기에 트럼프라는 새로운 이야기를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다.

메르켈 총리

무알콜맥주

그렇다면 맥주국이라 불리는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맥주를 좋아할까? 당연한 이야기다. 메르켈은 맥주순수령 500주년 기념식에서 ‘맥주 없는 사람에게는 마실 게 없다’는 명언을 남겼다. 그의 맥주 사랑은 한 행사장에서 돋보였다. 모두가 맥주를 마실 때 종업원이 실수로 메르켈의 옷에 맥주를 쏟았다. 하지만 그는 여유 있게 자신의 맥주잔을 들어 웃어 보였다. 내 맥주잔만 괜찮으면 된다는 쿨함. 이것이 맥덕국의 총리다.

언제 어디서나 맥주를 한 잔 해야하는 독일의 총리라는 직위. 그래서일까? 메르켈은 종종 무알콜 맥주를 마시는 장면이 사진에 찍히기도 했다. 물과 홉, 보리가 아니면 맥주가 아니라고 외치던 독일의 입장에서 맥덕 코스프레(?)처럼 비춰질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독일에서는 오히려 맥주보다 무알콜 맥주의 성장이 놀랍다고 한다. 독일에서는 정수기 수요가 거의 없고 물을 사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에 무알콜 맥주를 고른다고 한다. 뭐 어때? 총리도 마시는데.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의 대통령은 와인덕후여야

독일의 맥부심과 함께 프랑스의 와인부심을 빼놓을 수 없다. 지난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마린 르풴 후보는 “프랑스에는 와인을 잘 아는 대통령이 필요하다”며 와인 양조자의 표심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상대를 잘못 만났다. 당시 경쟁관계였던 에마뉘엘 마크롱 후보는 블라인드 테이스팅으로 보르도 블랑과 프로방스 로제를 정확하게 찾아냈다. 게임 끝. 마크롱 당선.

프랑스에서 와인 양조업자들의 영향력은 어마어마 하다. 국가의 경제적 이득의 원천이기도 하고, 2차 세계대전 때도 와인 양조자들은 와인을 만들 수 있도록 징집을 연기하는 등 많은 관심을 쏟아왔다. 하지만 프랑스의 보건장관이 ‘와인도 술이며 규제를 늘려야 한다’고 말하자 정부가 들썩들썩했다. 마크롱 본인도 평소에 와인을 너무 마셔 의사들에게 경고를 받은 상태였다.

사태는 마크롱이 “와인은 프랑스인의 영혼”이라고 말하면서 잦아들었다. 추가로 마크롱이 좋아하는 와인은 샹파뉴의 샴페인(샹파뉴와 샴페인은 같은 말이다), 보르도의 레드와인, 브로고뉴의 화이트 와인. 마지막으로 론 지방의 레드 와인이라며 와인에 대한 사랑과 식견을 보이자 성난 프랑스 와인 양조자들의 민심이 가라앉았다고.

푸틴 대통령

보드카는 싫어요

독일 총리는 맥주를, 프랑스 대통령은 와인을 사랑한다. 그렇다면 러시아의 대통령은 보드카를 사랑하지 않을까? 아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보드카를 즐겨 마시지 않는다고 알려졌다. 실제 보드카를 권했는데 그것을 꽃이 핀 화분에 부어버렸다는 일화도 있다. 꽃이 무슨 죄라고 술을 먹이니.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푸티는 맥주를 좋아한다. 젊은 시절 독일에서 KGB요원으로 일할 때 음료의 습관이 굳어진 듯하다. 겸사겸사 메르켈과의 맥주 이야기를 꺼내며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데도 능하다. 지난 소치올림픽에서는 외신 기자들 앞에서 중국의 명주 ‘마오타이 주’를 소개하기도 했다. 훌륭하고 매우 독한 술이라고. 설렘주의보에 걸린 마오타이주는 다음 해 러시아에 진출한다. 이런 전략적인 사람.

대통령… 그의 또다른 이름은

음료 트렌드세터가 아닐까?

대통령이 음료를 마시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을 넘어서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우는 전통주 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오바마 전 대통령은 미국 수제맥주 시장의 자부심을 키워주기 위해 음료를 선정한다. 한 나라의 대표가 마시는 것에도 음료시장은 떠들썩하게 변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이쯤 되면 이들의 또 다른 직업을 음료 트렌드세터라 불러도 좋을 것 같다.

웰치스 포도맛, 355ml, 6개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